MBC 기황후 25회 후궁경합에서 어려운 문제로 나왔던 것을 풀어낸 기승냥.
그것은 소동파의 시인 오중전부탄(吳中田婦歎), 雨中遊天竺靈感觀音院(우중유천축영감관음원) 이라고 합니다.
바로 위의 캡쳐 이미지에 있는 그림을 해석하는 문제였습니다.
오중전부탄(吳中田婦歎)
今年粳稻熟苦遲(금년갱도숙고지) : 금녕의 갱도는 늦게 여물어 괴로운데
庶見風霜來幾時(서견풍상내기시) : 차가운 서릿바람은 언제 닥쳐올 것인가
霜風來時雨如瀉(상풍내시우여사) : 서릿바람 올 때는 쏟아질 듯, 비 내리고
杷頭出菌鐮生衣(파두출균렴생의) : 보리 베는 파두에 벗 나고, 낫에는 옷 농이 진다
眼枯淚盡雨不盡(안고누진우부진) : 눈과 눈물이 다 말라버려도 비는 그치지 않아
忍見黃穗臥靑泥(인견황수와청니) : 누렇게 익은 벼가 푸른 진흙에 묻혀버리는구나
茅苫一月隴上宿(모점일월롱상숙) : 언덕 위의 띠풀 집에 한 달 동안 묶여있다가
天晴穫稻隨車歸(천청확도수거귀) : 날이 개자 벼를 거두어 차에 실어 돌아가도다
汗流肩赬載入市(한류견정재입시) : 땀이 흘리며 어깨 붉어 지도록 메고 시장에 가면
價賤乞與如糠粞(가천걸여여강서) : 가격은 떨어져 구걸함이 겨와 싸라기 같도다
賣牛納梲拆屋炊(매우납탈탁옥취) : 소 팔아 세금 내고 집을 허물어 불지피니
慮淺不及明年飢(여천부급명년기) : 아무리 생각해도 명년의 기아를 생각치 못했네
官今要錢不要米(관금요전부요미) : 관에서는 돈을 바라지 쌀은 바라지 않으며
西北萬里招羌兒(서배만리초강아) : 서북 만리에서 강족의 오랑캐를 불러들인다
龔黃滿朝人更苦(공황만조인경고) : 공수와 황기 같은 신하가 조정에 가득하나 백성은 더욱 괴로우니
不如却作河伯婦(부여각작하백부) : 오히려 하백의 아내 되는 것만 하리오
雨中遊天竺靈感觀音院 (우중유천축영감관음원)
蠶欲老 麥半黃 (잠욕로 맥반황) : 누에는 늙어 가고, 보리는 반쯤 익었는데,
前山後山 雨浪浪 (전산후산 우랑랑) : 앞산에도 뒷산에도 주룩주룩 비가 온다.
農夫輟耒 女廢筐 (농부철뢰 여폐광) : 농부는 쟁기를 던져 버리고 아낙네는 광주리를 팽개쳤는데
白衣仙人 在高堂 (백의선인 재고당) : 불당에는 관음이 흰 옷을 차려 입고, 태연한듯 앉아 있네.
'짧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광주간 휴가비 지원 금액, 기간. (0) | 2014.02.04 |
---|---|
설날 특별사면대상자조회 (운전면허) 방법. (2) | 2014.01.28 |
2014년 공무원 봉급표 (일반직 공무원 연봉표, 급여) 안내. (0) | 2014.01.03 |
[비타에듀 플래너] 비타에듀 시크릿박스 스터디플래너 이벤트 (0) | 2013.12.08 |
한국 비트코인 거래소 코빗 주소 (1) | 2013.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