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국민행복적금가입조건 서류 및 kb 국민행복적금 금리 입니다.
요새 저축 금리가 매우 낮은데요, 6~7% 이자의 저축이 있긴 합니다. 그 중하나가 kb국민행복적금 인데요, 생활보호대상자 등 저소득 계층을 위해서 만든 저축상품으로 시중 몇개 은행에서 취급합니다.

kb국민행복적금가입조건, kb국민행복적금가입대상은 아래와 같습니다.
기초생활수급자, 소년소녀가장, 북한이탈주민, 결혼이민여성,근로장려금수급자,한부모가족지원 보호대상자로 한사람당 하나의 계좌가 허용되며 가구당으로 계산되지 않습니다.


당연히 kb 국민행복적금가입대상 에 해당하는 경우 kb국민행복적금가입서류가 필요하고 필요 서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기초생활수급자 - 주민센터의 수급자 증명서
소년소녀가장 - 주민센터의 수급자 증명서
북한이탈주민 - 시/군/구청의 북한이탈주민증명서
결혼이민여성 - 주민센터의 가족관계증명서 및 혼인관계증명서
근로장려금수급자 - 국세청의 근로장려금 결정 통지서
한부모가족지원 보호대상자 - 주민센터의 한부모가족증명서


그렇다면... 과연 kb국민행복적금 금리 (이자)는 어떨까요?
kb국 민행복적금 금리 (이율)
만기이율 = 기본이율 + 우대이율(세전, 2013.3.13 현재) 기본이율 : 연4.50%
정액적립식 우대이율 : 연3.0%p (전회차 월 저축금을 납입하고 만기해지시에 계약기간 동안 적용)
자유적립식 우대이율 : 연2.0%p (만기해지시에 계약기간 동안 적용)
즉, kb국민행복적금 이자는 매월 정액 적금식으로 가입한 경우 무려 7.5% 가 됩니다.
해당하시는 분들은 열풍이 일었던 재형저축보다 훨씬 높으니 이런 저축이 도움이 됩니다.

저축 중간에 부득이한 사유로 인해 해약 해야 하는 경우의 해지이율은 아래 이미지와 같습니다.


kb국민행복적금 저축금액 한도는 월 1만원 이상 50만원 이하 이구요, 저축 상품 가입은 인터넷 등 온라인에서는 받지 않고 국민은행 지점 창구를 통해서 가능합니다.

특히나 이런 상품의 경우 세금우대 혹은 생계형 저축으로 비과세가 가능하기 때문에 더욱더 유리합니다. 비과세 효과까지 치면.. 8% 금리 정도가 되지 않을까 싶네요.  세금우대 혹은 생계형 저축은 창구에서 세금우대로 가입하겠다고 하면 본인의 세금우대 한도를 확인해서 한도를 넘지 않는다면 그렇게 해줍니다.  생계형 저축은 별도의 서류가 또 필요한데, 기초생활수급자라면 어렵지 않으니 꼭 챙기셔서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국민은행 지점 창구에서 문의하시면 되는데요, 해당 상품에 대한 안내를 친절하게 잘 해주지는 않는다고 하네요. 잘 확인하시고 문의해서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kb국민행복적금가입조건, kb국민행복적금가입대상,국민행복적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