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운하에서 이름만 바꾼 4대강 사업이 최근의 배추를 비롯한 채소값 상승의 원인 중 하나라면...
이렇게 주장하면 누군가는 "좌빨..." 이라고 하겠죠?

물론 가장 큰 원인은 올 봄 내내 계속되는 꽃샘 추위와 잦은 눈, 비가 원인일 것입니다.
하지만, 아래의 연합뉴스 기사를 보니 정말 그럴 듯 하더군요.

4대강 사업에 궂은 날씨탓?..채소값 폭등 (연합뉴스. 4.14일)


강을 접하고 있는 하천부지는 비옥한 땅입니다. 
그러한 땅 중에 봄배추 및 채소를 많이 하는 경남, 경북의 낙동강 주변의 시설농가가 4대강 사업으로 채소 생산을 멈춘것이 채소값 상승 및 물가상승의 원인이라는 군요. 

과연 그럴까요?

다음 지도의 스카이뷰를 통해 낙동강 주변을 보면 낙동강 강줄기를 타고 하얀 하우스 단지가 빼곡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다음이 스카이뷰를 찍을 당시는 이랬겠지만 지금은 낙동강 삽질로 시설 농업이 상당수 중단되었다고 합니다.

다음 지도 스카이뷰를 통해 낙동강을 따라 이동>  해보세요.  하우스 시설이 대부분입니다.   

그럼 과연 얼마나 줄었을까요?
당연히 통계 자료가 없어서 확인할 길이 없습니다만,
농림수산식품부가 2009년에 발간한 시설채소 실적 및 채소류 생산현황 통계 자료를 보면
낙동강 삽질로 인한 채소값 상승에 어느 정도 동의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노지 시설  
  면적 단수 생산량 면적 단수 생산량 면적 단수 생산량 생산량 비율
전국 16,191 5,146 833,167 13,110 5,203 682,049 3,081 4,905 151,118 100%
서울 22 3,305 727 9 2,554 230 13 3,824 497 0.1%
부산 157 4,810 7,551 91 4,962 4,515 66 4,600 3,036 0.9%
대구 240 4,317 10,361 66 4,865 3,211 174 4,109 7,150 1.2%
인천 95 4,182 3,973 61 3,479 2,122 34 5,445 1,851 0.5%
광주 136 4,771 6,489 39 4,736 1,847 97 4,786 4,642 0.8%
대전 10 4,510 451 1 4,990 50 9 4,455 401 0.1%
울산 39 4,574 1,784 16 4,249 680 23 4,800 1,104 0.2%
경기 1,457 4,146 60,403 481 4,279 20,582 976 4,080 39,821 7.2%
강원 1,084 4,597 49,830 969 4,607 44,642 115 4,511 5,188 6.0%
충북 1,018 4,732 48,170 926 4,567 42,290 92 6,391 5,880 5.8%
충남 1,098 4,850 53,253 438 4,312 18,887 660 5,207 34,366 6.4%
전북 544 5,101 27,752 459 4,990 22,904 85 5,703 4,848 3.3%
전남 7,386 5,757 425,244 7,160 5,687 407,189 226 7,989 18,055 51.0%
경북 2,195 4,702 103,206 1,795 4,809 86,322 400 4,221 16,884 12.4%
경남 443 5,515 24,430 332 5,131 17,035 111 6,662 7,395 2.9%
제주 267 3,574 9,543 267 3,574 9,543 0 0 0 1.1%

예상외로 전남의 봄배추 출하가 전국의 50%를 넘는데 경북,경남, 부산도 전체의 16% 정도 됩니다.

농림수산식품부의 2008년 시설채소 온실화 현황 및 채소류 생산실적 >


국가가 채소값을 통제하지 않는 이상 공산품이 아닌 농수산물은 시장에 의해 가격이 형성되고 특히 농수산물은 재배지의 출하량에 따라 편차가 커집니다. 이는 국제원자재 가격이 요동치는 것과 같은 이치일 겁니다.
그렇다면 낙동강 주변의 삽질에 의한 생산량 저하는 당연히 시장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물론,
가장 큰 원인은 날씨이겠지만 말이죠.

다음 검색에서 "4대강 채소값" 으로 검색하니,
채소값 상승원인이 4대강 삽질 때문이라는 원성의 트위터 글이 검색되네요.


당연히 근거리인 부산지역의 채소값이 금값이 되었을 겁니다.

암튼...  4대강 삽질이 물가까지 거들먹거리게 하는 군요.